2020. 7. 29. 21:49ㆍ인생공부/독후감
https://becoming-linchpin.tistory.com/14
크리에이터 혹은 창업을 준비한다면 읽어봐야 할, <콘텐츠의 미래>(1)
콘텐츠 크리에이터나, 막 창업을 시작한 사람들에겐 필독서이다. 어떻게든 콘텐츠의 질을 향상하며 트래픽을 유도한다. 하지만 콘텐츠의 질을 향상하기도, 트래픽을 유도하기도 쉽지 않다. 저��
becoming-linchpin.tistory.com
위의 콘텐츠를 읽는다면 첫 번째 연결 관계인 사용자 연결관계에 대해 알 수 있다. 이번 콘텐츠는 제품 연결관계를 설명하겠다.
콘텐츠 함정을 다시 한번 보자면
- 확산을 불러온 상황을 인식하기 보다 빌미에 집착한다.
- 제품의 경계를 너무 좁게 설정한다.
- 상황과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것을 따로따로 본다.
이런 3가지 콘텐츠 함정에 얽메이지 말고 연결에 집중해야 한다.
불법다운로드로 인해 골머리를 앓던 미디어 비즈니스를 보며 제품 연결관계를 설명하겠다.
그렇다. 음악 무료 다운로드로 인해 미디어 비즈니스가 변환기를 맞은 시기이다. CD 판매가 무려 80% 감소했고 종사자들은 무료 다운로드 사이트를 공격했다. 하지만 저자는 이런 생각은 터널 비전이라고 지적한다. 터널 비전이란 터널 속에 들어갈 때처럼 시야가 극도로 작아지는 것이다. 단순히 시기가 겹친다는 이유로 상관관계를 인과관계로 해석말라는 것이다. 라디오나 MTV도 그러했고 불법 다운로드도 결과적으로 음악산업 시장을 발전시켰다는 것이다.
- 라디오, MTV → 종사자 반대 → 음악산업시장 발전
- 불법 다운로드 → 종사자 반대 → 음악산업시장 발전
그래서 보완재냐 대체재냐 아는 것이 중요하다.
- 대체재 : 어떤 재화와 유용성이 비슷해서 대체해서 쓸 수 있는 재화, 보통 대체재의 가격을 올리고 접근성을 제한
- 보완재 : 한 제품의 가격이 낮아지면 나머지 제품의 수요가 높아질 때, 그 재화
대표적인 대체재는 밀과 쌀, 돼지고기와 소고기이다. 보완재는 바늘과 실, 빵과 치즈가 대표적이다.
그렇다면 CD는?
라디오, MTV, 불법다운로드, 브로드밴드, 콘서트, iPod 모두 CD의 보완재이다. 음악 종사자들이 걱정했던 것과 달리 단지 가치의 재분배이다. 실제로 음악 관련 보완재는 판매가 계속 증가했다. 음악산업은 죽지 않은 것이다.
이 상황에 iPod이라는 게임 체인저가 등장한다.
제목의 질문에 대해 생각해보자. 왜 MP3는 안되고, iPod은 성공했을까? 끝내주는 디자인, 애플의 브랜드벨류, 뛰어난 성능 때문에? 충분히 맞는 말이지만 다시 한번 생각해보자. MP3도 끝내주는 디자인, 뛰어난 성능, 훌륭한 브랜드에서 나왔었다. 보완재의 측면에서 보자. iPod과 MP3의 보완재는 음원이다. 그것을 스티브잡스가 알았고, 소프트웨어 보완재인 iTunes를 만들었다. 이 iTunes가 iPod의 성공이유이다.
iPod <——> iTunes <——> 음원 (공짜음원이면 더 좋다)
수요 증가 <——> 보완재의 가격이 매우 낮아지면
그래서 잡스는 iTunes를 사용하기 쉽게, 싸게 해서 그 제품의 보완재인 iPod에 수요가 폭발하는 것이다!!!!!
저자는 보완재의 경제학을 설명하면서 4가지 사항을 강조했다.
1. 비전을 넓혀라
보완재를 소홀히 하지 말고 제품이나 사업의 경계를 한정 짓지 말자. 아마존의 킨들이 전자책 서비스를 하는 이유, 아이폰이 앱스토어를 개방한 이유, 모두 보완재를 써먹어 성공한 것이다.
2. 낮은 가격을 책정하되 어느 제품에 어떻게 적용할지 알아라
면도기 - 면도날: 면도기는 싸게, 면도날은 좀 비싸게 → 두 가지를 다 만드니깐!
아이팟 - 음원 : 아이팟은 비싸게, 음원은 싸게 → 한가지만 만드니깐!
3. 사업초기에는 자사만의 독점적 보완재를 지켜라
당신의 플랫폼에서만 돌아가는 끝내주는 앱을 만들어라
4. 사업초기에는 자사만의 독점적 보완재를 지켜라
어떤 비즈니스를 하고 그 비즈니스가 다른 비즈니스의 보완재가 되는지 안되는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
성공과 실패는 관리 선택의 문제다. 제품 간의 연결관계가 긍정적으로 되고, 기회가 저절로 손안에 들어오리라 여기며 마냥 기다리기만 해서는 안된다. 관리자라면 스스로 기회를 포착하고 빚어내야 한다.
참고자료
1. 콘텐츠의 미래, 바라트 아난드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23052752
콘텐츠의 미래
게임이든, 음악이든, 자동차든, 냉장고든 분야에 상관없이 비즈니스 성공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자와 제품과 기능을 ‘적절히’ 연결하는 것임을 제시한다. 전 세계 승자 기업의 20년 역�
www.aladin.co.kr
2. <그림 1> : http://mn.kbs.co.kr/news/view.do?ncd=160527
3. <그림 2> : https://brunch.co.kr/@ken1224/81
4. 참고문헌 : https://www.donga.com/news/It/article/all/20100129/25800516/1
'인생공부 > 독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대체 왜 이런 선택을 내렸을까? <생각에 관한 생각> (1) (0) | 2020.08.07 |
---|---|
이코노미스트가 왜 온라인에 무지했을까? <콘텐츠의 미래> (3) (0) | 2020.08.01 |
크리에이터 혹은 창업을 준비한다면 읽어봐야 할, <콘텐츠의 미래>(1) (0) | 2020.07.19 |
좋은 습관을 만들고 싶다면 <아주 작은 습관의 힘> (0) | 2020.07.14 |
평균의 허상, <평균의 종말> (0) | 2020.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