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7. 9. 19:29ㆍ인생공부/독후감
우리의 사고방식을 바꿀 수 있는 책이다. 개인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 어떤 직원을 채용할 것인지, 어떤 방식으로 우리가 더 성장할 수 있는지에 길을 제시한다. 저자는 어렸을 때, ADHD로 판정받아 학교에 적응 못해 고등학교를 중퇴했었다. 하지만 주경야독하여 하버드대 인간발달학 석사를 받았다. 어린 시절, 평균에 떨어진 그녀가 어떻게 하버드대 석사학위를 딸 수 있었을까?
평균은 뛰어남과 그렇지 못함을 나타내는 강력한 지표다. 우리 어머니도, 나의 성적에 대해서도 물으실 때 평균을 물으셨고, 등수를 물으셨다. 어머니는 나의 성적을 판단하는 기준을 평균으로 잡았다. 기존의 관념과는 다르게, 저자는 평균의 허상을 보여주며 기존의 평가 시스템을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많은 사례들이 평균은 사람을 판단하는데, 옳지 않다고 뒷받침한다. 그중 하나는 평균적인 인간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평균적인 뇌, 지능은 존재하지 않았고, 오직 각기 다른 개인만이 존재한다. 항공기 조종석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항공기 조정석을 설계 할 때, 사람의 평균치를 이용해 고정된 좌석을 만들었다. 하지만 도저히 사용할 수 없었고, 평균치에 해당하는 사람은 전혀 없었다. 사람마다 각각 다리 비율, 어깨 비율, 목 길이가 천차만별임을 깨달았다. 그 후 사람마다 조정이 가능한 좌석을 만들었다.
한마디로, 평균은 정상이고, 그 외는 비정상적이라는 테일러식 사고방식을 깨야 된다.
그렇다면 어떤 기준을 통해서 우리는 사람을 판단해야 할까?
3가지의 원칙을 통해 방법론을 제시한다.
들쭉날쭉의 원칙
1. 인간은 다차원으로 이루어졌다. (체력, 지능, 성격 등)
2. 이 여러 차원들 가운데 관련성이 낮을 때, 하나의 차원으로 단순히 생각하지 말자.
우리는 하나를 잘한다고 나머지를 잘하지 않는다.
맥락의 원칙
개개인의 행동은 특정 상황과 떨어져서 예측할 수 없고, 특성과 상황의 독자적인 상호작용으로 발현된다.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라는 프로그램을 보신 적 있는가? 유치원에서는 얌전한 아이는 엄마 앞에서 떼쓰는 아이로 돌변 한다. 이처럼 사람은 특정 맥락에서 행동방식이 제각기인 점을 명심해야 한다. 그리고 어떠한 행동이 특정 맥락에서 발휘되므로 그 맥락을 이용하는 환경을 설정하는 것도 필요하다.
어떤 직장 동료가 이런저런 맥락에서 아무리 봐도 까탈스러운 사람 같아 보이더라도 회사 밖에서는 의리 있는 친구이자 자상한 언니이자 정겨운 이모일지 모른다. 또 그 점을 알고 나면 그 직장 동료를 함부로 판단하기가 힘들어진다.
성격 또한 고정되어 있지 않다. 저 사람이 왜 저러는 지를 맥락적 관점으로 생각하는 것이 필요하다.
경로의 원칙
1. 우리 삶은 특정 목표를 향한 여정은 여러 갈래이고, 그 갈래는 모두 특별하다.
2. 그 갈래길은 각각 개개인성에 달려있다.
우리는 어떤 경우든 자신만의 경로를 내며 그 길을 닦으며 나아가는 것이라고, 우리가 내리는 모든 결정이나 우리가 겪는 모든 일에 따라 매번 우리에게 주어지는 가능성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그럴 수 없다고..
이런 3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저자는 새로운 교육시스템을 제안한다.
대학 학위가 아닌 자격증을 수여하기!
기존의 대학 학위는 커리큘럼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제한된 시간 내에서 능력을 평가했다. 하지만 자격증은 전 분야를 어우르며 자신이 이수하고 싶은 강의의 강의료만 내고 기간에 관계없이 이수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폭넓은 강의를 받을 수 없다는 점이 단점이다. 하지만 굳이 필요 없는 강의를 듣지 않는 것을 생각할 때, 합리적이라 본다. 또한 기존의 대학보다 시장의 빠른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코로나 시대 이후에 많은 학생들이 온라인으로 대학 강의를 신청했다. 충분히 대학에 나오지 않아도, 학생들이 학습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했다. 지식의 반감기가 계속해서 줄어드는 상황에서 대학교육보다는 자격증을 이수하는 편이 낫다고 느낀다. 패스트캠퍼스, K-MOOC의 성공사례를 본다면, 학생들의 수요가 많아 보인다.
저자의 분석을 통해 사람은 개개인마다 천차만별이라는걸 다시 한번 느꼈다. 그리고 환경설정의 중요성과 맥락을 고려해서 사고할 것을 배웠다. 나만의 경로를 찾기 위해 더욱더 노력해야겠다.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38199276
평균의 종말
ADHD 장애 자퇴생에서 하버드대 교수로, 토드 로즈가 발견한 ‘개개인성’의 힘. 학교 제도 속의 ‘문제아’였던 토드 로즈는, 탄탄한 과학적 이론을 통해 ‘평균’이라는 기준 자체가 잘못된 허
www.aladin.co.kr
<참고자료>
1. 평균의 종말 by 토드로즈
2. 그림 1,2,3 : pixabay
'인생공부 > 독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은 성공하고 아이리버는 망한 이유, <콘텐츠의 미래>(2) (0) | 2020.07.29 |
---|---|
크리에이터 혹은 창업을 준비한다면 읽어봐야 할, <콘텐츠의 미래>(1) (0) | 2020.07.19 |
좋은 습관을 만들고 싶다면 <아주 작은 습관의 힘> (0) | 2020.07.14 |
어떤 팀장을 뽑을 것인가? <최고의 팀은 무엇이 다른가?> (0) | 2020.07.01 |
<제로 투 원>, 손쉽게 시장을 장악하는 법 (0) | 2020.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