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공부/독후감(19)
-
중국은 도대체 왜 그럴까?? <헨리 키신저의 중국이야기>를 읽고
를 읽고 3가지 키워드로 보는 중국이야기를 간략히 알려드리겠다. www.yes24.com/Product/Goods/32425439 헨리 키신저의 중국 이야기 포스트 김정일 시대, 중국은 어디로 나아갈 것인가?중국의 정치 외교에 대한 역사를 이해하면 한반도 문제의 해법이 보인다!핑퐁 외교를 일구어 낸 최고의 외교 전략가 헨리 키신저가 통찰하는 www.yes24.com 1. 하나의 중국 중국은 하나의 중국에 집착한다. GDP의 30%를 차지하는 초강대국의 시절에도 그들은 평화의 시대만 유지할 뿐 다른 나라를 건들지 않았다. 단지 조공을 받는 상하관계만을 유지했다. 칭기즈칸의 제국이나, 알렉산드로스의 미케도니아 혹은 페르시아 제국과 비교해본다면, 중국은 정말 특이한 나라이다. 한편 분열되었을 때도 다시 하나의..
2020.09.13 -
<운다고 달라지는 일은 아무것도 없겠지만>을 읽고
근래에 논픽션 책만 읽다 보니, 사람이 딱딱해지고 있다고 느꼈을 때였다. 도서관에 특이한 제목이 눈에 띄었다. 표지의 화면(썸네일)도 잘 어울렸다. 얼굴의 형체가 보이지 않는 커플의 그림. 펼쳐보니 느낌 있는 재생지. 읽고 싶은 묘한 분위기가 들었다. 비가 유달리도 많이 왔던 그 달에도 어울렸다. 한 시인이 이렇게 말했다. 어렸을 때는 치기 어릴 때는 거침없이 써내려가는 시가 어울리고, 어느덧 나이가 지긋이 든 이후에는 천천히 되새김질하는 산문이 어울린다고. 좀 더 얘기하자면, 시는 고뇌를 산문을 인생을 담는다고. 이 책은 날 것이라 느꼈다. 표독스러울 정도로 거칠게 살아온 그의 인생이 글자에 꾹꾹 담아낸것으로 느껴졌다. 또 문학을 놓지 않으면서 밥값을 벌기 위해 어떤 일이든 닥치는 대로 해왔던 그의 삶..
2020.09.11 -
테이커 Vs 기버, 세상에서 가장 발칙한 성공법칙(2)
테이커 Vs 기버, 어떤 방식으로 행동해야 효과적일까?? 사람과 사람 간의 관계에서 어떤 포지션을 취하는지에 따라 테이커, 매처, 기버로 나뉜다. 조직 심리학자 애덤 그랜트의 설명을 들으며 이 3가지 용어가 무슨 뜻인지 이해해보겠다. https://www.youtube.com/watch?v=K9jrzmzMN8I 애덤 그랜트의 TED 강연 - 기브 앤 테이크 사람간의사람 간의 관계에서 이득만 취하는 사람을 테이커(Takers), 사람 간의 관계에서 도움을 주는 사람을 기버(GIvers), 테이커와 기버를 반반 섞은 사람을 매처(Matchers)라고 한다. 매처가 대다수로 56%를 차지한다. 그리고 기버가 25%, 테이커가 19%를 차지한다. 매처는 평균적으로 잘나간다. 그들은 누군가에게 받는 만큼 줄려고 ..
2020.08.21 -
어림짐작과 편향, <생각에 관한 생각> (2)
https://becoming-linchpin.tistory.com/20 내가 대체 왜 이런 선택을 내렸을까? (1) 이번에 소개할 책은 유명한 명저인 이다. 근래 읽었던 책 중 가장 두꺼워 읽는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 의사결정 관련한 부분에서 소개할 것이 많아서 이 책에 관해 포스팅하게 becoming-linchpin.tistory.com 위에 포스팅에 이어서 포스팅을 진행하겠다. 다시 복습해보자면, S1 혹은 System 1은 저절로 작동하는 무의식적인 생각 방법이다. 감정, 직관등이 이에 해당한다. 반면 S2 혹은 System 2는 정신적으로 에너지를 소모하면서 이성적으로 생각하는 생각 방법이다. 이성적인 사고판단이 이에 해당한다. 요번 포스팅에서는 어림짐작과 편향에 관하여 설명하겠다. 사람들은 특..
2020.08.15 -
그릿이냐, 전략적 포기냐? <세상에서 가장 발칙한 성공법칙> (1)
그릿이냐? 전략적 포기냐? 어떨 때 어떤 것을 선택해야 유리할까?? 그릿이란 근성과 같은 말이다. 고통스러워도 가장 가치 있는 목표를 향해 계속해서 몰입할 수 있는 능력이다. 좀 더 자세하게 말하자면 GRIT = Growth + Resilience + Tenacity = 성장 + 회복력 + 끈기이다. (Instinct는 해당되지 않는 것 같다.) 엔젤라 더크워스의 에 의하면 그릿이 높을수록 다양한 분야에서 더 성공할 가능성이 높았다. 예를 들어, 네이비실의 기준을 통과한 사람들이 그릿 능력이 높다는 경우가 대표적인 예다. 3가지 과정을 통해 그릿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첫 번째, 성장마인드셋을 이해하자. TED 강연에서 그는 성장 마인드셋을 이해하면 더 그릿을 추구할 수 있다고 한다. 우리의 학습능력..
2020.08.11 -
내가 대체 왜 이런 선택을 내렸을까? <생각에 관한 생각> (1)
이번에 소개할 책은 유명한 명저인 이다. 근래 읽었던 책 중 가장 두꺼워 읽는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 의사결정 관련한 부분에서 소개할 것이 많아서 이 책에 관해 포스팅하게 되었다. System 1 (= S1) System 2 (= S2) 저절로 작동 약간의 정신적 소모 -> 동공 확대나 흥분 인상 / 감정 / 의도 / 직관 믿음 / 자발적 행동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 체계적 오류 편향 인지적 편안함 인지적 압박 인간에게는 두 가지의 생각 시스템이 존재한다. 시스템 1은 저절로 빠르게 작동하며 노력이 거의 필요치 않고 자발적 통제를 모른다. (이곳에선 S1이라 하겠다.) 시스템 2는 노력이 필요한 정신활동에 주목한다. 주관적 행위, 선택, 집중과 관련되어있다. (S2라고 하겠다.) 인류는 이 S1과 ..
2020.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