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공부/전자전기전공(19)
-
아두이노 기초 정리
함수는 크게 setup()과 loop()로 나뉜다. setup은 한번만 실행하는 코드이, loop는 계속해서 실행되는 코드이다.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처음에는 setup start와 setup end가 출력되지만, 이후에는 loop start와 loop end가 반복된다. 그리고 루프가 반복될 수록 idx의 값이 1씩 증가된다. 그리고 코드 작성후 보드를 컴퓨터와 연결하면 시리얼모니터 화면이 발생한다. 이떄 맨 밑에 line ending 없음, 9600보드레이트를 확인해야 한다. 보드레이트는 setup에서 작성된 코드로 둘이 일치해야한다. 주석은 // 외에도 /* */로도 표현한다. 변수 global variable : 함수 바깥쪽에서 선언 local variable : 함수 안에서 선언, 함수 종료시 ..
2021.04.19 -
선형독립, linear independence란?
선형독립에 앞서 선형, linear에 의미에 대해 음미해보자. 위와 같이, 비례성과 중첩성을 동시에 만족하면 선형이다. 위와 같이 식이 만족하지 않으면 비선형이라고 한다. 흔히 1차함수 그래프처럼 나오면 선형이다. 그렇다면 선형독립의 정의를 살펴보면 정의는 위와 같다. 만약 n개의 x 중 하나라도 다를 수 있으면 dependence이다. 잘 안 와닿으셨으니 이 포스팅까지 들어왔다고 생각한다. 좀 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예시를 들어보겠다. 보다시피 c1, c2는 0밖에 될 수 없는 구조다. 이럴 때, 행렬 (1,0), (0,1)이 선형 독립, linear independence라고 한다. 이 선형독립을 이용하면 향후 벡터공간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미분방정식에서 해를 구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2020.09.25 -
교류회로의 최대전력 - <회로이론>
이번에는 교류회로의 최대전력에 대해 알아보겠다. 회로이론 1의 내용을 회상해보자면 이렇다. 여기 impedance, Z를 이용하면 이렇게 나온다. 문제풀이에서 응용하자면 테브난 회로를 잘 활용하는 것이 관건이다. 회로이론 1에서 테브난 회로를 구했던 것처럼 V(TH)는 열린회로에서 걸리는 전압을 Z(TH)는 열린회로에서 등가저항이다. 참고 : Electrical Circuits - James Nillson
2020.09.16 -
교류회로의 전력! <회로이론>
먼저 순간전력, 복소전력, 평균전력, 무효전력에 관해 이해해야 한다. 상당히 많은데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위의 노트에서 보듯이 이런 특징을 가지고 있다. 기호를 조심해야한다. 순간전력 p, 평균전력 P는 W(와트), 무효전력 Q는 VAR, 복소전력 S는 VA이다. 추가적으로 피상전력은 S에 절대값을 씌운 S의 크기이다. 그리고 역률, 무효율은 그리고 각각 R, L, C마다 위상 차가 있다보니, 특징이 약간 다르다. S = P + jQ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할 수 있다. 참고 : Electric Circuits - James.Nillson
2020.09.16 -
공학수학, 2차 미분방정식
노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만들었습니다.
2020.09.10 -
공학수학, 1차 미분 방정식
노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해서 만들었습니다. 1차 미분방정식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크게 separable, exact, linear ODE가 있습니다.
2020.09.10